공기 중 석면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로는 위상차현미경이다. 하지만, 위상차 현미경은 석면뿐만 아니라 일반 섬유도 함께 확인이 되기 때문에 순수한 석면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 국내 석면분석방법
석면 분석방법
·
실내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 농도 측정방법 - 위상차현미경법
-
이 시험기준은 실내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의 측정방법을 규정한다.
-
실내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를 여과지에 채취하여 투명하게 전처리한 후 위상차현미경으로 계수하여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의 수 농도를 측정한다.
-
적용범위 : 이 시험기준은 실내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주 시험방법으로 사용된다.
-
이 시험기준의 측정범위는 100 ∼ 1,300 개(섬유수)/mm2(여과지면적)이며, 방법검출한계는 7 개(섬유수)/mm2(여과지면적)이다.
-
이 시험기준은 실내공기 중 석면의 조성이나 특별한 섬유 형태의 특성을 식별하지 못하므로 석면과 섬유상의 먼지를 구분할 수 없다.
-
이 시험기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그 결과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시행규칙 별표 3의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ES 02304.1 "실내 공기 중 석면 측정방법 투과전자현미경법"을 적용하여 추가분석 후 그 결과를 적용한다.
·
실내 공기 중 석면 측정방법 - 투과전자현미경법
-
이 시험기준은 투과전자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 중 석면 농도 측정방법을 규정한다.
-
석면 및 섬유상 먼지를 채취한 여과지를 투명화 과정을 거쳐 탄소코팅 및 회화 전처리 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석면 및 섬유상 먼지를 관찰하고 에너지 분산 엑스선 분석기(EDXA, energy-dispersive X-ray analysis) 및 전자회절(ED, electron diffraction)패턴을 이용하여 비석면 섬유와 석면섬유를 구분하여 공기 중 석면 섬유 농도를 측정한다.
-
적용범위 : 이 시험기준은 실내 공기 중 석면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 ES 02303.1의 "실내 공기 중 석면 및 섬유상 먼지 농도 측정방법 - 위상차현미경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시행규칙 별표 3의 기준을 초과하는 시료에 대하여 섬유상 먼지의 석면여부를 평가하여 공기 중 석면 섬유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이 시험기준에서의 측정범위는 100 ~ 1,300 fiber/mm2(여과지면적) 이다.
· 대기-석면섬유 측정방법(직접전달투과 전자현미경법)
-
KS I ISO 10312 : 2008 (대기-석면섬유 측정방법(직접전달투과 전자현미경법))
-
적용범위 : 이 규격은 대기 중 석면 구조(asbestos structures)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투과 전자 현미경법을 사용하는 표준 방법에 대하여 규정하고 석면 구조의 길이, 넓이 그리고 종횡비의 측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기존 석면 섬유의 형태를 측정할 수 있다.
-
원문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 고정오염원 방출 - 석면공장 방출물 측정(섬유계수 측정에 의한 방법)
-
KS I ISO 10397 : 2011 ( 고정오염원 방출 - 석면공장 방출물 측정(섬유계수 측정에 의한 방법))
-
적용범위 : 이 규격은 석면을 사용하는 산업 공정의 도관, 굴뚝, 송기관에 흐르는 가스 흐름에서 섬유 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섬유 계수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
원문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 대기-석면섬유 측정방법(간접 전송 투과전자현미경법)
-
KS I ISO 13794 : 2008 (대기-석면섬유 측정방법(간접 전송 투과전자현미경법))
-
적용범위 : 국제 표준기구는 투과전자현미경(이하 : TEM)을 이용하여 대기중의 석면의 구조와 농도 검출에 대한 방법으로 지정하였다.
-
원문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 실내공기 제7부 : 공기 중 석면섬유농도 결정을 위한 시료채취방법
-
KS I ISO 13794 : 2008 (대기-석면섬유 측정방법(간접 전송 투과전자현미경법))
-
적용범위 : 이 표준에서는 실내 공기 내 석면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계획이 사용되도록 절차를 규정한다.
-
원문 :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국외 석면분석방법
·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석면과 다른 섬유 분석방법
-
US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7400 (ASBESTOS and OTHER FIBERS by PCM)
-
측정범위 : 100 ~ 1300 fibers/mm2 filter area
-
검출한계 : 7 fibers/mm2 filter area
-
원문 : US NIOSH 홈페이지 [http://www.cdc.gov/niosh]
· TEM을 이용한 석면 분석방법
-
US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7402 (ASBESTOS by TEM)
-
측정범위 : 100 to 1300 fibers/mm2 filter area
-
검출한계 : 1 confirmed asbestos fiber above 95% of expected mean blank value
-
원문 : US NIOSH 홈페이지 [http://www.cdc.gov/niosh]
·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Direct transf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
-
ISO 10312 : 1995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Direct transf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
-
Specifies a reference metho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asbestos structures in ambient atmospheres and includes measurement of the lengths, widths and aspect ratios of the asbestos structures. The method allows determination of the types of asbestos fibres present. The method cannot discriminate between individual fibres of the asbestos and non-asbestos analogues of the same amphibole mineral.
-
원문 : ISO 홈페이지 [http://www.iso.org]
· Stationary source emissions -- Determination of asbestos plant emissions -- Method by fibre count measurement
-
ISO 10397 : 1993 (Stationary source emissions -- Determination of asbestos plant emissions -- Method by fibre count measurement)
-
The principle of the method specified is isokinetically withdrawing a known volume from a moving gas stream, passing the sampled gas through a filter medium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including fibres), treating the filter to make it transparent when viewed under a microscope and counting the number of fibres in a precise number of fields viewed using a phase-contrast optical microscope. The method may be used to determine fibre concentrations in flowing gas streams in ducts, chimneys, or flues from a wide range of industrial processes.
-
원문 : ISO 홈페이지 [http://www.iso.org]
·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Indirect-transf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
-
ISO 13794 : 1999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Indirect-transf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
-
원문 : ISO 홈페이지 [http://www.iso.org]
· Indoor air -- Part 7: Sampling strategy for determination of airborne asbestos fibre concentrations
-
ISO 16000-7 : 2007 (Indoor air -- Part 7: Sampling strategy for determination of airborne asbestos fibre concentrations)
-
ISO 16000-7:2007 specifies procedures to be used in planning of air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asbestos in indoor atmospheres. Careful planning of the measurement strategy is important, because the results can become the basis of recommendations for major building renovations, or for the return of a building to normal occupancy status after removal of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
ISO 16000-7:2007 uses the following definition for indoor environments as specified in ISO 16000-1: dwellings having living rooms, bedrooms, do-it-yourself (DIY) rooms, recreation rooms, cellars, kitchens and bathrooms; workrooms or workplaces in buildings which are not subject to health and safety inspections in regard to air pollutants (for example, offices and sales premises); public and commercial buildings (for example, hospitals, schools, kindergartens, sports halls, libraries, restaurants and bars, theatres and other function rooms); cabins of vehicles and public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