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분석 대상물질을 현미경으로 볼 때 각 부분에 투과되는 빛의 위상차를 명암으로 바꾸어 상의관찰을 확인 가능하게 함
- ·
- 길이 5um 보다 길고,
- ·
- 길이 : 직경 = 3:1을 초과하는 석면 섬유를 직접 계수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하여 공기중에 있는 5 um 이상 되는 분진을 계수하여 NIOSH 7400 및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한다.
방법은 시료채취용 포집기를 사용하여 작업환경중의 공기를 분당 0.5~l6 L의 포집속도로 Cellulose Ester Membrane필터로 통과시켜 시료를 채취한다.
맴브레인필더를 아세톤과 트리아세틴을 사용하여 투명화 처리한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길이가 5um 이상 되고 길이 대 넓이의 비가 3:1 이상 되는 섬유를 계수한다.
섬유가 계수면적내에 있으면 1 개로, 섬유의 한쪽 끝만 있으면 1/2 개로 계수한다. 섬유다발은 섬유의 끝이 정확히 보이지 않으면 1 개로 계수한다. 작은 직경의 섬유는 아주 희미하게 보이지만 전체석면 계수에는 큰 영향을 주므로 주의해야한다.
100 개의 섬유가 계수 되도록 충분한 시야수를 보고 섬유밀도는 계수 시야수를 시야 면적으로 나눈 수학식으로 산출해 내면된다.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천정재, 바닥재, 타일재, 방음재, 보온재, 방열재등의 건축자재, 개스킷 같은 배관자재, 브레이크라이닝들의 산업용 고형 석면자재를 분석하게 되며 NIOSH 9002 및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편광현미경은 한쪽방향으로 빛이 투과되는 편광판이 재물대 상하에 있으며 광물의 굴절률, 다색성, 형태, 신장율 부호, 소광현상들을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석면 관찰을 위해서는 1.550, 1.680, 1.700의 굴절액(Refractive Index Liquid)을 시료에 적하하고 현미경 커버글라스를 슬라이드에 밀착시킨 후 편광을 조작하여 개방니콜 및 직교니콜상태로 바꾸어 가면서 샘플을 보게 되는데, 분석자가 재물대를 회전시키면 광물의 다색성이 관찰되어 석면 유무 및 종류를 식별 할 수 있다.
현미경에 붉은색 보정판을 끼우게 되면 신장율 부호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데 청석면을 제외한 모든 석면은 양(+)의 부호를 갖는다.
회절패턴(Diffraction Pattern)을 이용하거나 X-ray Microanalysis 장치를 이용하여 확인
석면은 고유의 결정과 방위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절패턴상에 나타난 결정과 방위각을 계산하여 석면/비석면의여부를 결정
EDS 또는 WDS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
TEM의 경우는 0.1 um 정도의 아주 작은 석면섬유까지 검출 가능
공기 중 석면시료 측정에 가장 정확한 방법 - 석면식별이 가능하며, 위상차현미경으로 볼 수 없는 매우 가는 섬유도 관찰가능
측정방법 | 정 량 적 방 법 | 정 성 적 방 법 | ||
---|---|---|---|---|
계 수 | 함 량 | 석 면 종 류 | 석 면 유 무 | |
위상차 현미경 | ![]() |
|||
편광현미경 | ![]() |
![]() |
![]() |
|
X-선 회절법 | ![]() |
![]() |
![]() |
|
주사전자현미경법 | ![]() |
![]() |
![]() |
|
투과전자현미경법 | ![]() |
![]() |
![]() |
![]() |
측정방법 | 미 국 | 영 국 | 일 본 | 네덜란드 | 핀란드 | |
---|---|---|---|---|---|---|
편광현미경법 | ![]() |
![]() |
![]() |
![]() |
![]() |
![]() |
위상차현미경법 | ![]() |
![]() |
![]() |
![]() |
![]() |
|
투과전자현미경법 | ![]() |
![]() |
![]() |
![]() |
![]() |
|
주사전자현미경법 | - | ![]() |
![]() |
![]() |
![]() |
|
X-선회절법 | ![]() |
![]() |
![]() |
![]() |
![]() |
|
IR | ![]() |
![]() |
![]() |
![]() |
![]() |
|
![]() ![]() ![]() ![]() ![]() |